Press Release

PharmCADDㆍKIRAMS signed an MOU for Research and Business Development

<View Original Article> PharmCADDㆍKorea Institute of Radiological & Medical Sciences(KIRAMS) signed an MOU for Research and Business Development 팜캐드·한국원자력의학원, 항암제 후보물질 타깃 단백질 발굴·연구 MOU 타깃 단백질 대한 저분자 화합물 효능 검증…항암제 기술이전 통한 기술사업화 달성 목적 [데이터넷] AI 기반 신약개발기업 팜캐드(대표 권태형·우상욱)는 한국원자력의학원(원장 김미숙)의 김재성 박사 연구팀과 ‘저분자 화합물 구조로부터 타깃 단백질 발굴 및 검증 […]

PharmCADDㆍKIRAMS signed an MOU for Research and Business Development 더 읽기"

[CEO INTERVIEW]PharmCADD is the only company to participate in CASP14 in Korea.

<View Original Article>   [인터뷰]우상욱 팜캐드 대표 “제2 구글 노린다…단백질 구조예측 올림픽 참가” 팜캐드, 국내 기업 최초로 CASP14 참가질병 원인 밝혀내고 치료 방법 찾는다. 【서울=뉴시스】우상욱 팜캐드 대표 [서울=뉴시스] 송연주 기자 = AI 기반 신약개발 기업 팜캐드가 ‘단백질 구조예측 올림픽’으로 불리는 ‘CASP14’(Critical Assessment of Structure Prediction) 대회에 국내 기업으론 첫 참가한다.CASP는 지난 1994년부터 2년마다 열리는 글로벌 단백질 구조예측 대회다. 전 세계의 단백질 구조

[CEO INTERVIEW]PharmCADD is the only company to participate in CASP14 in Korea. 더 읽기"

PharmCADD will have a showcase of Pharmulator, the new drug discovery platform in AI EXPO KOREA 2020

  <View Original Article> [인공지능신문] AI 신약 설계 플랫폼으로 약 16만 종류의 단백질 정보와 10만개의 Druggable 저분자화합물 정보(ChEMBL diversity dataset)를 활용하여 자체 제작한 in-house 데이터로 파뮬레이터의 AI를 학습시켰다. 팜캐드(대표 권태형·우상욱, PharmCADD)는 질병에 대한 디노보 치료법을 보다 효율적으로 발견하고 개발하기 위한 길을 가속화하는 데 전념하는 대표적인 AI 기반 의약품 설계 스타트업으로 오는 9월 23일부터 25일까지 서울

PharmCADD will have a showcase of Pharmulator, the new drug discovery platform in AI EXPO KOREA 2020 더 읽기"

PharmCADD in the spotlight for possible success of the ‘mRNA coronavirus vaccine’

<View Original Article> [데이터넷] 미국 바이오 기술 기업 모더나(Moderna)가 사람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백신 1상 임상시험에서 항체가 형성되는 긍정적인 결과를 발표하며, 세포 내에서 유전 정보를 전달하는 메신저 RNA(mRNA)를 기반으로 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백신 개발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다. 모더나 연구진이 14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mRNA 백신 ‘mRNA-1273’의 임상 1상에서 시험 대상자 45명

PharmCADD in the spotlight for possible success of the ‘mRNA coronavirus vaccine’ 더 읽기"

PharmCADD completed its Series A funding round

<View Original Article> 누적 투자금 76억 달성…신약개발 플랫폼 고도화 가속 [데이터넷] 인공지능(AI) 기반 종합 신약개발기업 팜캐드(PharmCADD)는 47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이로써 팜캐드는 총 76억 원의 누적 투자금액을 달성했다. 이번 투자는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적으로 벤처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되는 시기에 성공적으로 이뤄졌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는 평가다. 시리즈A 투자에는 벤처캐피탈(VC) 데일리파트너스, KTB네트워크 등이

PharmCADD completed its Series A funding round 더 읽기"

PharmCADD discusses cooperation in new drug development with Global Pharma Companies in ‘BIO USA’

  <View Original Article> [데이터넷] 인공지능(AI) 기반 종합 신약개발기업 팜캐드(PharmCADD)는 세계 최대 바이오 산업 컨퍼런스인 ‘2020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이하 바이오 USA)’에 참가, 머크, 일라이 릴리 등 세계적인 제약·바이오 기업들과 신약개발 프로젝트에 관한 논의를 진행했다고 9일 밝혔다. 미국 바이오 기술 산업기구(Biotechnology Industry Organization)가 주최한 이번 행사는 매년 미국의 주요 도시를 돌아가며 열리는데, 올해는 코로나19 확산의 우려로 6월

PharmCADD discusses cooperation in new drug development with Global Pharma Companies in ‘BIO USA’ 더 읽기"

Korean Biotech consortium to speed up the COVID-19 Vaccine development

<View Original Article>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진행이 전세계적으로 장기화 되는 가운데 국내 바이오업계에 관련 백신 개발을 놓고 연합 체제가 형성되고 있다. 코로나 판데믹 이후 이같은 협력 컨소시엄이 신약개발의 한 축으로 자리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국내에 COVID-19 백신 개발을 놓고 다수의 컨소시엄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DNA백신, mRNA백신, 바이러스 재조합 단백질 백신 등

Korean Biotech consortium to speed up the COVID-19 Vaccine development 더 읽기"

PharmCADD signs MOU with Pusan National Univ. for AI-based novel drug development

<View Original Article> [서울=뉴시스] 송연주 기자 = 인공지능 기반 신약개발 기업 팜캐드(PharmCADD)는 부산대학교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치료물질 개발·검증 공동 연구 합의문을 6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합의에 따라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제약학과는 새롭게 부상하는 최첨단 인공지능 약물개발 기술을 기존의 의약화학 방식에 적용한다. 약물합성과 약물제제 및 약물동력학 분야의 연구를 통한 신약 개발을 추진한다. 부산대학교 관계자는 “4차 산업 신약개발 패러다임에

PharmCADD signs MOU with Pusan National Univ. for AI-based novel drug development 더 읽기"

PharmCADD CEO gives special lecture in the national pharma-bio forum

<View Original Article> 우상욱 교수 “비임상 전 후보물질 도출 단계 획기적으로 단축” “AI로 단백질 3차 구조 예측 가능” “데이터로 학습되지 않은 생물학적 지식 필요 한계 역시 존재” 코로나19 신약 등 새로운 영역 활용 가능 [서울=뉴시스] 송연주 이예슬 손정빈 기자 = 국내 민영뉴스통신사 뉴시스가 23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 2층 국제회의실에서 개최한 ‘제3회 뉴시스 제약·바이오포럼'(온라인 생중계)이 성황리에

PharmCADD CEO gives special lecture in the national pharma-bio forum 더 읽기"

PharmCADD CEO gave special lecture in the national pharma-bio forum

우상욱 교수 “비임상 전 후보물질 도출 단계 획기적으로 단축” “AI로 단백질 3차 구조 예측 가능” “데이터로 학습되지 않은 생물학적 지식 필요 한계 역시 존재” 코로나19 신약 등 새로운 영역 활용 가능   [서울=뉴시스] 송연주 이예슬 손정빈 기자 = 국내 민영뉴스통신사 뉴시스가 23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 2층 국제회의실에서 개최한 ‘제3회 뉴시스 제약·바이오포럼'(온라인 생중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PharmCADD CEO gave special lecture in the national pharma-bio forum 더 읽기"